서울시립대학교
추진목표
- 화학물질 특성화대학원 운영을 통해 대학·산업계 연계를 통한 맞춤형 핵심 인력양성
참여학과
환경공학과, 융합응용화학과, 인공지능학과, 도시빅데이터융합학과
주요 프로그램
- 정규교과목 개설 및 운영, 교재 개발 및 발간, 대학원생 비교과 운영, 학부생 비교과 운영, 산·학연 전문가 세미나 개최, 내·외부 교육수강
연차별 추진계획
최종목표, 1차년도, 2차년도, 3차년도, 4차년도, 5차년도
최종목표 |
화학물질 특성화대학원 운영을 통해 대학·산업계 연계를 통한 맞춤형 핵심 인력 양성 |
1차년도 |
- 1차년도 특성화대학원 운영계획 수립 및 자료수집
- 홍보프로그램 개발
- 정규과목으로 기개설 과목 보완 및 신규 과목 개발
- 학술발표, 전문가 세미나, 산학연 현장학습 등 비정규과목 운영
- 학부생을 위한 자체 및 현장실무 교육 프로그램 개발
|
2차년도 |
- 2차년도 특성화대학원 운영계획 수립
- 홍보프로그램 운영
- 정규과목으로 기개설 과목 운영 및 신규 과목 개발
- 논문, 학술발표, 전문가 세미나, 산학연 현장학습, 외부교육 수강등 비정규과목 운영
- 학부생을 위한 자체 및 현장실무 교육 프로그램 운영
|
3차년도 |
- 3차년도 특성화대학원 운영계획 수립
- 학부생을 위한 자체 및 현장실무 교육 프로그램 개발
- 정규교과목 점검 및 개편/비정규 교과 프로그램 참여도 증진을 위한 홍보 기획
- 신입생 모집, 재학생 양성 및 수료생 배출
|
4차년도 |
- 4차년도 특성화대학원 운영계획 수립
- 신입생 모집 및 홍보 기획
- 정규 교과목 운영에 대한 문제점 개선·운영
- 논문, 학술발표, 전문가 세미나, 산학연 현장학습, 교내외 교육수강 등 비정규과목 운영
- 학부생을 위한 자체교육 프로그램 개발·운영
- 교재 개발
- 사업 종료에 대비한 자립화 방안 수립
|
5차년도 |
- 5차년도 특성화대학원 운영계획 및 자립 계획 수립
- 홍보프로그램 운영
- 정규과목으로 기개설 과목 운영 및 신규 과목 개발
- 논문, 학술발표, 전문가 세미나, 산학연 현장학습, 외부 교육 수강 등 비정규과목
- 학부생을 위한 자체 및 현장실무 교육 프로그램 운영
|
커리큘럼
서울시립대학교
빅데이터 & AI 기반
화학물질 안전관리 특성화대학원
커리큘럼
화학물질
전문심화 교육
- 환경독성학, 위해성평가, 화학물질 국내외 규제 교육
- 환경공학, 응용화학, 인공지능 융합 기반 화학물질 심화 교육
- 환경독성
환경보건 위해성평가
- 빅데이터
통계분석
인공지능
- 다학제적
융합역량
배양
- 환경화학
분석화학
계산화학
데이터 기반
첨단융합 교육
- 차세대 신규시험법 (NAM)
- 화학물질정보학
- 데이터베이스, QSAR
- 화학물질 독성예측
- 인공지능 기반 화학물질 관리
-
QSAR/Read-Across
-
Artificial Organs
-
In vitro 시험방법
-
인공지능 독성예측
-
Bioinformatics
-
Database
산학협력 기반
실무교육
- 산업계 전문가 실무교육
- 교내외 교육과정 수강
- 국내외 학회 참석
- 인턴십 프로그램
- 멘토링 프로그램
- 전문가세미나
- 산업체 견학
- 교내외 교육
- 국내외 학회
참석
- 인턴십
프로그램
- 멘토링
프로그램
교육과정
석 · 박사 과정 교과 프로그램
석·박사 1학기, 석·박사 2학기, 석·박사 3학기, 석·박사 3학기
- |
석·박사 1학기 |
석·박사 2학기 |
석·박사 3학기 |
석·박사 4학기 |
|
기초학문 학습을 통한 융합연구 기반조성 |
기초 지식 강화와 다학제적 지식연계 |
유해성 · 데이터 · 화학 융합 연구 지식 확장 |
신학연 문제 해결 및 대응 융합형 전문인재로 도약 |
공통 |
국내외 화학물질 규제 배경 학습 |
화학물질 동향 및 이슈 파악 |
|
|
기초 · 특화 |
기초영역 개요 학습 |
기초영역 지식 강화 |
기초영역 지식 확장 |
|
심화 · 특화 |
|
유해성 · 데이터 · 화학 응용연계 네트워크 |
영역확산 및 융합연구 성과 도출 |
신학연 연계 맞춤형 첨단 연구 수행 |
교육프로그램 구성
공통과목
- 화학물질이슈세미나
- 화학물질관리법규
- 화학물질관계법규
기초 과목
- 환경/인체독성학특론
- 환경위해성평가특론
- 환경보건학특론
- 화학물질분석학
기초특화 과목
- 화학물질정보학특론
- 계산화학 기초
- 화학과 물질의 이해
심화1 과목
- 환경/인체독성시험학
- 규제독성학개론
-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및 활용
심화특화과목
- 계산독성학
- 환경유기화학
- AI 응용 및 실습
- 그래프 기반의 화학물질 분석
- 머신러닝
- 파이선프로그래밍 최적화
- 화학물질을 위한 고성능컴퓨팅
- 환경보건안전(EHS) 기초
- 환경모니터링특론
- 환경보건논문세미나
비교과 교정 프로그램
연구능력 배양
첨단 연구수행, 논문게제
화학물질 유해성, 독성기전, 비동물 대체 시험법 (세포시험법, QSAR, 인공지능 모델) 등의 화학물질 분야 첨단 학술 논 문 연구 지원
연구동향 파악
학회 참석, 학술발표
화학물질 전문가들이 모이는 국내외학회 참석 지원을 통해 연구 동향 파악, 화학물질 분야 특별 강의 수강, 미국 및 유럽 선진국들의 화학물질 및 첨단 연구 사례 교육 기회 제공
실무능력 배양
현장 실습, 외부교육수강
화학물질 관련 업무 수행기관에서 현장 실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안 제시
타 기관 주최 화학물질 전문가 양성과정 및 전문교육 참석을 통해 전문적인 교육 기회 제공
실무동향 파악
산학연계강좌, 전문가세미나
실제 화학물질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현장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 및 업무 동향 과 관련 지식들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 제공
비정규과목 운영계획
STEP 1
연구 능력 배양
-
첨단연구 수행 및 논문게재: 화학물질 유해성, 독성기전, 비동물 대체시험법 (세포시험법, QSAR, 인공지능 모델) 등의 화학물질 분야 첨단 학술 논문 연구를 지원
- 관련 저널(국외): Environment International, Environmental Science & Technology 등
- 관련 저널(국내):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, 한국환경보건학회지,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등
STEP 2
연구 동향 파악
-
학회 참석 및 학술발표: 화학물질 전문가들이 모이는 국내외 학회 참석을 지원하여 연구 동향 파악, 화학물질 분야 특별 강의 수강, 미국 및 유럽 선진국들의 화학물질 및 첨단 연구 사례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
- 관련 단체 및 기관: 환경독성보건학회, 독성학회, 대한화학회, 대한환경공학회, Society of Toxicology,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등
STEP 3
실무 동향 파악
-
전문가 세미나 및 산학연계 강좌: 실제 화학물질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현장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 및 업무 동향과 함께 관련 지식들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
- 관련 단체 및 기관: 정부기관(환경부, 국립환경과학원, 한국환경공단, 화학물질안전원 등), 정출연(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,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, 안정성평가연구소 등), 사단법인(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등), 대학, 기업 및 연구소 등
-
현직자 멘토링 세미나: 환경독성, 보건, 위해성분야 직무이해와 취업준비 강화를 위한 멘토링 세미나의 기회를 제공
- 관련 단체 및 기관: 안전성평가연구소 연구원, 한국 해양과학기술원 연구원, 삼성 전자 EHS센터 현직자 등
STEP 4
실무 능력 배양
-
현장실습 및 내·외부 교육수강: 화학물질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현장실습이 가능하도록 산업체 인턴십 프로그램을 지원하고, 타 기관에서 주최하는 화학물질 전문가 양성과정 및 전문교육 참석을 통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
- 관련 단체 및 기관: 정부기관(환경부, 국립환경과학원, 한국환경공단, 화학물질안전원, 환경보건센터 등), 정출연(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,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, 안정성평가연구소 등), 사단법인(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등), 대학, 기업 및 연구소 등
-
산업체 인턴십 프로그램: 석사, 박사과정 학생들의 심도 있는 산업체 현장 실무업무에 대한 체험을 통하여 향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하고 선택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
- 관련 단체 및 기관: ㈜켐브레인, ㈜씨아이알에스그룹코리아, ㈜켐토피아,㈜켐솔브, ㈜티오이십일,(재)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,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, 그린에코스㈜, (사)분자설계연구소등